보이는 것

1부 : 2016.11.16 - 11.28 / 김민지, 김해다, 전수만
2부 : 2016.12.2 - 12.14 / 이경희, 이지성, 한소현
ARTIST
1부 : 김민지, 김해다, 전수만
2부 : 이경희, 이지성, 한소현
TITLE
보이는 것
DATE
1부 : 2016년 11월 16일(수) ~ 11월 28일(월)
2부 : 2016년 12월 2일(금) ~ 12월 14일(수)
OPENING RECEPTION
-
김 민 지
“오직 두 길이 있을 뿐이다. 성인의 길과 비극적 예술가의 길이. 양자는 실존의 무상함에 관한 분명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세계관에 어떤 균열도 느끼지 않고 계속 살아갈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계속 살아야 한다는 데 대한 구토가 창조의 수단으로 지각된다.”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욕망과 일상이 만들어내는 권태로움은 인간으로 하여금 장기적 혹은 단기적인 목표를 세워 끊임없는 동기부여를 하며 살아가게 한다.
뚜렷하지는 않더라도 자신의 방향을 설정하게끔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우연들이 작용하는 삶 속에서 ‘나’의 의지나 목표는 힘을 잃는다. 처음 세운 방향은 계속해서 수정되고 때로는 목표를 잃기도 하며 그저 흘러가는 대로 살아가게 한다. 나의 궤도는 계속해서 수정되고 또 수정되며 힘이 없다.
삶의 가치와 목표의 부재로 인해 모든것이 허무하고 지루하다고 느끼는 나는 ‘모든것은 똑같다. ‘잘 모르겠다.’ 또는 ‘그저그렇다’는 심드렁한 태도로 삶을 살아간다. 살아 있어서 살아가고 있지만, 내일은 고사하고 바로 눈을 깜빡 하는 다음 순간조차 확신할 수 없는 불확실한 미래는 막연한 불안감과 내일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만들고, 매일 똑같은 일상의 무게는 나를 짓눌러 새로운것, 자극적인것, 순간에 집착하게 만든다.
지금 이 순간의 유희와 쾌락, 지금 이 순간의 즐거움. 그러나 아주 잠깐의 유희나 쾌락에 즐겁다가도 그건 오히려 그렇지 않은 시간들을 더욱 지루하게 만들 뿐이다. 결국 아무것도 다를것이 없다라는 허탈한 마음이 배가 되어 내게 돌아온다. 이제 이런 감정의 되풀이는 더이상 흥미롭지 않다. 나의 작업은 이런 시들한 일상의 반영이며, 시들한 일상을 잊기 위한 수단이다.

김 해 다
산이 하나 있다. 산의 동편에 사는 사람들은 늘 그 산에서 해가 지는 것을 보아왔기에 그 산을 서산이라 부를 것이고, 서편에 사는 사람들은 그 산에서 날마다 해가 뜨는 것을 보아왔기에 동산이라 부를 것이다. 이렇게 산은 산을 바라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만약 동쪽 사람과 서쪽 사람이 만나 산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어떻게 될까? 같은 산을 두고 서로 서산이라거나 동산이라고 우길 것이다.
그러나 두 사람이 하늘에 둥둥 떠서 멀찍이 그 산을 바라볼 수 있다면, 그 산은 서산도 동산도 아닌 그냥 하나의 산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인간은 마치 신과 같이 저 먼 하늘에서 세상을 내려다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우리는 늘 어느 한 지점을 점유하여서만 존재할 수 있다. 반드시 어느 한 위치에 있을 것. 그것이 우리가 일상을 영위하는 제1조건이며, 늘 전지적 시점으로 세계를 바라볼 수 없는 유한한 존재일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작가는 우리 각자가 저 산이 동산이라고, 혹은 서산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인식론적 한계를 벗어날 수 없는 숙명을 지닌 인간이 이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생동하는 주체’로 자신을 탈바꿈하려는 시도를 한다.
‘생동하는 주체’는 자기 자신을 그리고 자기 자신이 인식하는 세계를 완전체가 아닌 끊임 없이 변화하는 변형체로서 여기며 완고한 확신과 판단, 절대를 상정하지 않는 자이다. 항상 자신의 인식 영역 바깥에 대하여 열려 있으며, 변화라는 파도에 민감하게 자신의 온 몸과 마음을 실을 수 있는 훌륭한 서퍼와 같이 산 저편에 살고 있는 사람은 이 산을 다르게 부를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서산이었던 산을 동산으로, 동산이었던 산을 서산으로 부를 수 있는 유연한 태도를 지닌 주체, 이것이 바로 작가가 이야기하는 ‘생동하는 주체’이다. 작가는 이러한 생각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작업물에 일상적 오브제를 택하여 색으로 덮고, 오브제의 시공간적 상황을 변화시키거나 오브제 조합물을 해체함으로써 각 오브제의 본래 색깔을 드러내 오브제가 지닌 사물성을 의도적으로 찾아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마스킹테이프 드로잉>, <각목, 못, 볼트, 선풍기커퍼, 전깃줄, 타이어, 파이프커버, 판자>는 오브제를 조합-해체-재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그것의 경직성을 깨뜨리는 일종의 생각실험이다. 해체되었던 오브제들은 색이 칠해진 부분과 색이 칠해지지 않은 부분을 모두 드러내며 재조합된다. 이 때의 형상에서는 이전의 한 가지 색으로 통일되었던 형상에서 느껴졌던 정적을 발견할 수 없다. 못의 머리 부분만 색이 묻어 있는 것을 보아 어딘가에 박혀 있던 못을 뽑아서 다르게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거나, 끈의 부분 부분만 색이 묻어 있는 것을 보아 매듭지어져 있던 끈을 풀어서 배치한 것으로 보이는 등 형상에서 발견되는 재조합의 흔적들은 이전의 형상이 어떠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어도 무언가 ‘변화되었다’는 예상을 가능케 한다.
이 변화의 흔적을 드러내고 있는 오브제 조합물은 더 이상 정체되어 있지 않다. 한 번 변화를 거쳐온 이 조합물은 언제든지 또 해체되고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제하게 됨으로써 한가지 색으로 통일되었을 당시의 경직성은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앞선 작업이 작가의 사고과정을 분석적으로 다룬 일종의 생각실험과 같은 작업이었다면, <할머니 모양 할머니>는 그 이후의 삶의 태도에 관하여 작가 개인의 경험으로부터 촉발된 작업이다. 2년 전 할머니의 죽음을 겪은 작가는 작가 자신과 주변 사람들이 슬퍼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할머니라는 한 인간의 대상성-한 사람의 죽음과 거기에 투여된 슬픔이라는 감정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작업에 등장하는 화분은 작가의 돌아가신 친할머니의 유품이다. 작가는 할머니의 유품을 정리하던 중 중 조화가 꽂혀 있는 화분에 매력을 느꼈고 그것을 종이에 옮겨 그리기 시작했다.
할머니를 떠올리는 물건을 그리는 행위는 할머니와의 각별했던 기억을 기리는 일종의 의식(ritual)을 넘어 ‘화분이라는 실재’와 실재를 평면에 옮겨 그리는 과정에서 최대한 닮게 그리려 ‘애씀’, 그리고 ‘결과물과 실재 사이의 간극’이라는 세 지점간의 긴장에 대한 관심으로 나아갔다. 작가와 같은 차원에 놓여진 화분이라는 사물은 작가에 의해 해석되어져 2차원의 평면에 재현된다. 마그리트의 처럼 종이 위 화분은 화분모양이지만 화분이 아니다. 아무리 닮게 그리려 애를 써도 종이 위 화분은 화분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은 할머니라는 대상과 할머니의 죽음을 애도하던 각자들의 심상 사이의 간극을 떠오르게 한다.
그렇다면 아무리 애를 써도 절대 동일할 수 없는 대상을 그리는 주체의 행위는 쓸모없는가. 작가는 오히려 이러한 ‘애씀’을 자신의 유한함을 받아들인 생동하는 주체의 솔직함이라고 생각한다.
종이 위에 그려진 화분의 모양은 작가가 지닌 드로잉 기술 뿐만 아니라 그날 그날 주어진 재료나 작가 자신의 컨디션에 따라서도 다르게 그려진다. 작가는 오히려 드로잉의 정확성, 색감, 필력과는 관계 없이 다양함 그 자체로 가지는 의미에 주목하는 것이다. 한편 화분에 꽂혀 있는 꽃은 아이러니하게도 ‘조화’로써 꽃모양을 하였지만 꽃은 아닌 어떤 것이다. 꽃모양의 어떤 것을 담은 화분, 그리고 그 화분 모양 종이는 작품의 제목 <할머니 모양 할머니>처럼 만날 수 없는 주체와 대상의 거리, 붙잡을 수 없는 실재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실재 그 자체의 허구성이 혼합된 카오스 속에서 유한한 인간이 행할 수 있는 아름다움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닐까.

전 수 만
특정한 존재를 완전하게 이해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완전한 이해에 가까워지려는 노력만 있을 뿐, 불행하게도 완전한 이해는 허구이다. 여기서의 ‘이해’란 단편적인 정보의 습득으로서의 이해보다는 온 감각과 상황을 동원 하에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받아들이는 일을 뜻한다. 이해의 종류나 방법은 수도 없이 다양하고 이런 다양성들의 현재의 세계를 낳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런 이해의 완전성에 조금 더 다가가기 위한 노력과 그로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불완전성에 주목을 했다. 『wheel』은 가족 간의 이해에 대한 개인적인 감상에서 출발한 작업이다.
우리 가족은 어느 책에서 묘사하는 듯한 평범하고 화목한 가정이다. 서로 배려하고 위하며 늘 생각하는 이상적인 가정이라고 생각하나 그럼에도 서로를 완전히 이해 할 수는 없으며 은연중에 타 구성원을 타자화 하기도 한다. 나는 이를 특정 구성원이 목적지를 공유해야하는 자동차라는 공간에서 풀어보려 했다. 본 작업은 2채널 영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은 디스플레이에서는 집에서 자취방까지 가는 동안의 가족 간의 일상적 대화 중 일부가 재생되고, 큰 디스플레이에서는 그 여정동안의 외부 공간이 원형으로 돌아가는 영상이 재생된다.
외부 영상에서의 시공간은 주행 중인 바퀴에 소형 카메라를 달아 촬영함으로써 화려하고 매력적으로 왜곡되나, 때로는 현기증을 유발시킨다. 이를 통해 내가 부모님을 이해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함께 있던 집’에서 출발하여 ‘내가 떨어져 나가게 된 도시’로 진입하는 감정적 시공간 또한 보이려 했다.

이 경 희
급속한 첨단기술의 발전을 통해 새로운 것들이 쏟아져 나오고, 기존의 것들은 그 효율성을 상실하며 새로운 것들로 빠르게 대체되고 버려지는 현대사회에서, 기술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현대 기술사회에서 우리의 인식체계에 의해 규정되는 사물의 가치는-인간의 인식활동에 있어 사물의 본질을 보는 것이 아닌-그 사물의 도구적 가치로 판단 되어진다.
따라서 사물은 효율성과 가치판단에 의해 오로지 도구 또는 부품으로서의 존재가 되며, 이렇게 사물화된 대상들은 산업발전의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다시 말해, 현대 기술에 의해 사물은 그 기능이나 사물 이면의 본질에 상관없이, 쓸모 없음으로 인해 가치기준조차 없는 폐기물로 전락한다. 이 가치 절하된 사물들은 얼마 전까지도 사용되었거나 아직도 우리 주변에서 기능하고 있음에도, 새로운 것들로 인해 빠르게 그 효율성을 상실하며, 소용가치가 없는 것이 되어 버려지고, 허망하게 잊혀진다. 그리고 이것들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아나크로니즘적인 것, 즉, 현재나 미래의 것이 아닌, 과거의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대착오적라고 여겨지는 것들은 분명 현재의 것이다.
‘현재의’ 것으로서 ‘현재 안’에 존재하지만, 지금-여기의 현재라는 시간 속에서 ‘지나간’이라는 의미를 안고 부유하는, 일종의 모순적인 존재들이 되어버린 것이다. 우리의 인식 체계 안에서 과거로 인식되는 아나크로니즘적인 것들은 과거와 동시에 현재의 것들이며, 현재의 것들은 과거와 미래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나크로니즘 역시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대 기술사회가 만들어내는 급변하는 풍경들은, 과거의 것들 그뿐만 아니라 현재의 것들조차 그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느낄 새 없이 빠르게 과거로 만든다. 근대 산업기술의 신화는 잊혀진지 오래고, 근대의 기계들은 우리 주변에서 기능하고 있지만 인식의 대상조차 되지 못할 뿐만이 아니라, 최근의 기계들 역시 더 이상 우리에게 열망의 대상이 아니다. 어쩌면 우리는 곧 과거가 될 현재의 디지털 기술은 떠나 보내고, 디지털 기술이 만들어 낼 또 다른 새로운 신화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있기 때문일 지도 모른다.
이러한 급변하는 테크놀로지 시대에서 기술에 대한 물음을 갖는 것은, 유토피아가 될지 암울한 디스토피아가 될지 모르는 기술이 만들어내는 풍경에서 생성되고 소멸되는 존재들의 가치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것이다. 동시에 사물의 의미, 가시성, 가치들을 전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모색 함으로서, 존재자들의 가치를 전복 또는 확장시키고자 하는 열린 인식체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것이며, 기술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우리 삶의 태도에 대한 질문이다.

이 지 성
보이는 것에 관한 소고 일상에서 발견하는 낯선 경험을 기록할 때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는 ‘실제’다. 알던 것과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느끼는 허무함과 동시에 새로운 사실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단어다.
나의 작업노트에 이 단어가 많이 쓰이게 된 것은 ‘본다’는 행위를 의식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어느 날, 여느 때처럼 매일 봐오던 생활 속 풍경에 대해 나는 그것을 보고 있다고 생각할 뿐, ‘제대로 본’ 일은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 시초는 저 멀리 우뚝 솟은 남산타워였다. 남산타워를 보고 있지만, 나는 남산타워를 본 것이 아니라 남산타워를 안다는 사실을 확인했던 것뿐이다.
그래서 나는 말 그대로 남산타워를 자세히, 열심히 보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존 관념 속 이미지와 현장에서 발견한 모습이 서로 충돌하였고, 그것을 설명할 때에 나는 ‘실제로’라는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했다. 새로운 것을 알게 되었다는 흥분이 자아낸 현상이다. 실제로 남산타워 탑신부의 표면은 페인트로 여러 번 덧칠한 듯 울퉁불퉁하다. 또, 콘크리트 거푸집 흔적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이 흔적은 높이 90cm 간격마다 세로로 자국이 나 있고 약간 불규칙하다. 실제 둘레는… 이 과정에서 대상은 내가 ‘알던 것’과 ‘실제의 것’으로 분리되었고, 그사이에는 내가 ‘본 것’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직감적으로 내가 해야 할 일은 내가 본 것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시작한 작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대상을 보던 중 가장 큰 괴리를 가져온 그것의 크기와 질감이다. 따라서 실측을 하거나 고객센터를 통해 제원을 얻는 등의 수치적 정보와 표면을 근접 촬영한 사진을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실체화된 ‘내가 본 것’은 실제의 대상을 볼 때와 (당연하게도)감흥이 다르게 인다.
이 작업은 실제의 대상과 그 대상에 대한 관념(알던 것) 사이 어디쯤 자리하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난 후에 같은 대상으로 다시 작업한다면 지금과 다른 모습이 되어 그사이 다른 어디쯤 자리할 것이다. 이 작업으로 내가 지향하는 바는 대상의 실제에 가까워지고자 하기보다 대상에 관한 관찰과 사유의 폭을 넓히는데 있다. 그리고 그것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우선, 가까운 주변이다.
매일 통학을 위해 외출하면서 시야에 들어오던 <남산타워> 외에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남산타운아파트>, <까치집, 오금로 16>은 유년기부터 자라온 익숙한 주거 환경에 눈을 돌리자 새로운 층위의 대상으로 다가온 소재다. 이렇듯 작업의 착수는 그저 눈앞에 보이는 모든 것에 인식의 문을 열어 놓고 기다리는 데서 시작한다.

한 소 현
언젠간 행복해지겠죠 분명 그 곳으로 가면 행복할 것이라는 말에 그 길을 잘 따라왔다. 행복하게 살고 있어야 할 청춘이지만 왜 여전히 난 행복하지 않는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누구에게 물어야 할지 알 수 없다. – 작업노트 중 지우고 싶은 1년이 있다.
선택할 수 있는 행복이 도무지 보이지 않았던 가장 불행했던 1년. 사고 전반과 성격, 가치관을 바꿔 놓았고, 자연스러웠던 일상과 관계들을 마치 한번도 해 본 적 없는 것처럼 낯설게 만들어 버린 16살. 갑작스레 강남으로 전학 온 나는 그들과 섞일 수 없어 죽어있던 것과 마찬가지였는데 사람들은 나에게 성공했다고 그들의 잣대대로 해석하고는 했다. 우리 생의 궁극적인 목적, 그 끝엔 행복이 있다.
<언젠간 행복해지겠죠> 연작은 트라우마로 남은 성장 과정, 일상에서 겪은 부조리, 불안, 불편함을 모티브 삼아 행복에 대해 역설하는 작업이다. 공공 혹은 개인이 공유하는 동시대의 시간성과 공간성의 맥락에 심리적인 풍경을 조성하여 부조리한 일상과 사회가 맞닿는 경계를, 그리고 지금 여기 재생되고 있는 삶의 여러 층위들을 응시하고 의식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본 전시의 작품은 <언젠간 행복해지겠죠> 연작 중 오브제 작업으로, 트라우마로 남았던 1년을 부정하는 의식으로 중학교 3학년 때 착용했던 교복을 긴 시간에 걸쳐 해체하고, 하나하나 매듭지어 연결하여 실타래로 엮어낸 작업이다. 강남 프로젝트 – 위대한 유산 Great Expectations <강남 프로젝트>는 행복에 대해 역설해보고, 소외된 시선과 부조리를 표상하는 관념적 사각지대에 주목하던 이전 작업들과 연장선상에 있는 작업으로, 목적을 상실한 채 기이한 생존의 리듬으로 지속되고 있는 대치동 풍경에 대한 기록이다. 대치동 풍경이 외시하는 일상은 도무지 익숙해질 수 없는 기이하고도 낯선 풍경들로 생경함을 자아내는 듯 하나, 실은 그 곳에서 흔히 목격되는, 지극히 일상적인 풍경이라는 사실에 문득 아득해진다.
강남 대치동은 대한민국 최고의 교육열을 자랑한다. 청소년기부터 대치동에 거주해 온 바, 이 곳 대치동의 교육적 욕망이 과열되어 있는 만큼 그 안에서 행해지는 기형적 행태들 역시 너무도 쉽게 묵과됨을 목격한다. 분명 잘못되어 가고 있음을 느끼면서도 우리 아이가 무한 경쟁의 사회를 살아가려면, 좋은 대학에 가려면, 좋은 직장에 취직하려면,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해서라면, 누가 근본적으로 이 고리를 끊어내기 전까지는 멈출 수가 없는 것이다.
너도 하니까 나도 한다는 불안 심리와 해답을 알 수 없으니 당장은 어쩔 수 없다는 식의 정당화, 그리고 좋은 게 좋은 것이라는 식의 무한 낙관주의는 결국 이 구조를 견고하게 만드는 카르텔을 형성하고, 사회는 재차 견고하게 경직된다. 정성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한 줄기의 믿음으로 대치동은 쉬지 않고 굴러간다. 교육의 차별화는 학벌로, 직업으로, 사회적 지위와 소득 수준으로, 더 나아가서는 배우자와 다음 세대의 문제로까지 이어지는 조건이기 때문에, 한 개인의 평생을 좌우하는 근본적 생존기반이 된다. 과거 권력, 신분, 지위와 같은 계급적 요소의 대물림으로 상징되는 대관 의식은 그 모습을 달리하여 여전히 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어디로 흘러가는지 누구의 욕망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 찰스 디킨스의 소설 <위대한 유산>은 일본어로 된 제목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역으로, 원제는 . 본래는 ‘막대한 유산’ 혹은 ‘대단한 기대’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정확한 의미에 가깝다고 한다.

Artist Infomation

김 민 지
2016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석사 졸업
2012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졸업
2016 E19782016_이영미술관_용인
2014 이작품을주목한다_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관_서울
2013 The Emotion Lab 감정실험실_Space CUM_서울
2013 북한강을바라보며_서호미술관_남양주
2012 Trance Media_겸재정선기념관_서울
2012 Archive on Going_서울대학교 우석홀_서울
2012 공장미술제_미곡창고_장항,충남

김 해 다
2016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소과 졸업
2012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소과 졸업 그룹전
2016 <컷팅엣지(Cutting Edge)_100>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4 <이 작품을 주목한다展>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A동, 서울
2014 <제 2회 AFIA Artist Fair in Apgujeong> 한국국제예술원, 서울
2013 <감정실험실> SPACE CUM, 서울
2013 <울긋불긋展> 모란미술관, 남양주 2012 겸재정선기념관, 서울

전 수 만
2016. 서울대학교 조소과 및 영상매체연합전공 졸업

한 소 현
2016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대학원 졸업
2012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그룹전
2016 <문래 – 시대유감> , 문래 33-19, 서울
2015 <제 3회 글렌데일시 위안부의 날 기념전시 김포시청 초청전> 김포시청사, 김포
2015 <제 3회 글렌데일시 위안부의 날 기념전시> 갤러리 버튼, 서울
2015 <제 3회 글렌데일시 위안부의 날 기념전시>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2015 <마음의 기억 Inner Voices> 단원미술관, 안산
2014 <제 3회 글렌데일시 위안부의 날 기념전시> 성북예술창작터, 서울
2014 <제 2회 AFIA Artist Fair in Apgujeong> 한국국제예술원, 서울
2014 <제 3회 글렌데일시 위안부의 날 기념전시> Alex Theater, Glendale, LA
2013 <감정실험실 The Emotion Lab> Space CUM, 서울
2013 <이 작품을 주목한다>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013 <틀을 깨다> 겸재정선기념관, 서울
2012 서울대학교 우석홀, 서울
2012 이화아트센터, 서울
2010 관훈갤러리, 서울
2008 파란네모 갤러리, 서울

이 경 희
2015 Goldsmiths College, Fine Art 석사졸업, 런던, 영국
2010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석사 졸업
2004 이화여자대학교 조소전공 학사 졸업

개인전
2016 (un)Sealed Memories, Jam Factory, 옥스포드, 영국
2012 COMPOSITIONAL ◎○◎, 토포하우스, 서울

단체전
2016 Alienation, 5th Base Gallery, 런던, 영국
2016 Alienation, Ground Floor Gallery, 뉴욕, 미국
2016 Parallax Art Fair, Chelsea Town Hall, 런던, 영국
2016 Alienation, James Oliver Gallery, 필라델피아, 미국
2016 Static, Green Lens Studio, 런던, 영국
2016 Beyond the image, Espacio Gallery, 런던, 영국
2016 Perception of the figurative, 5th Base Gallery, 런던, 영국
2016 Intergenic_After & Seen Fifteen Project, Seen fifteen gallery, 런던, 영국
2016 Transitions, Menier Gallery, 런던, 영국
2016 Es19782016, 이영미술관, 경기, 한국
2015 Graduate Art Prize 2015, Herbert Smith Freehills, 런던, 영국
2015 The Deleted World, 5th Base Gallery, 런던, 영국
2015 Goldsmiths MFA degree show, Goldsmiths College, 런던, 영국
2015 Digit Disco: The body in the age of the digital, The Show Room gallery, 런던, 영국
2014 Interim Show, Goldsmiths College, 런던, 영국
2014 Symposium: A Banquet of Korean Contemporary Art, Oxo Tower Wharf, 런던, 영국
2011 VO/D, Gallery Boda Contemporary, 서울, 한국
2010 장흥: JAM834, 장흥 아트 파크, 경기, 한국
2010 □+depth, 갤러리 라메르, 서울, 한국
2008 Natural Relationship, Gallery진선, 서울, 한국
2007 The Observers, Space Mueum, 서울, 한국
2006 한국 미술 평론지 선정 작가展, 단원 미술관, 경기, 한국

작품소장
Constance Howard Gallery, Goldsmiths College, 런던, 영국

이 지 성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및 영상매체예술연합전공 졸업 201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대학원 졸업 2015
그룹전
일현미술관, TRAVELGRANT, 강원도 2013
문화역서울284, 2015타이포잔치, 서울 2015
개인전
갤러리밈, <지금, 눈 앞에>, 서울 2016
서울대·현대자동차 주관 멘토링프로그램 ART-UNI-ON, AUO ARTIST 선정 2015

KIM, MIN JI
2016 M.F.A College of Fine Arts, EWHA Womans Univ.
2012 B.F.A College of Fine Arts, EWHA Womans Univ.
2016_E19782016_Ieyoung Contemporary Art Museum_Yongin, Korea
2014_attention this work of art_Art & Design Building A_Seoul, Korea
2013_The Emotion Lab_Space CUM_Seoul, Korea
2013_Seeing the Bukhangang_SEOHO Museum of Art_Namyangju, Korea
2012_Trance Media_Kyomjae Jeong Seon Museum_Seoul, Korea
2012_Archive on Going_Wooseok Hall, SNU_Seoul, Korea
2012_Art Factory Project_Janghang Culture Art Space_Janghang, Korea

Kim, HAE DA
2016 Ewha Womans University, M.F.A in Sculpture, Seoul, Korea
2012 Ewha Womans University, B.F.A in Sculpture, Seoul, Korea Group Exhibition
2016 Gana Art Center, Seoul. Korea
2014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14 Korea International Institute of Arts, Seoul, Korea
2013 Space CUM, Seoul, Korea
2013 Moran Museum of Art , Namyangju-si, Korea
2012 Gyumjae Jungsun Galley, Seoul, Korea

JEON, SOO MAN
2016. B.A at Dept. of Sculpture, Media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HAN SO HYUN
2016 M.F.A. in College of Fine Art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012 B.F.A. in College of Fine Art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Selected / Group Exhibitions
2016 , Mullae 33-19, Seoul, KR
2015 Gimpo City Hall, Gimpo, KR 2015 Dongduk Art Gallery, Seoul, KR
2015 Gallery Button, Seoul, KR
2015 Danwon Art Museum, Ansan, KR
2014 Sungbuk Art Center, Seoul, KR
2014 Korea International Institute of Arts, Seoul, KR
2014 Alex Theater, Glendale, LA, USA
2013 Space CUM, Seoul, KR
2013 Gyumjae Jungsun Galley, Seoul, KR
2012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R
2012 Ewha Art Center, Seoul, KR
2010 Gwanhoon Gallery, Seoul, KR
2008 Parannemo Gallery, Seoul, KR

LEE, KYOUNG HEE
2015 Goldsmiths College, MFA in Fine Art, London, U.K
2010 Ewha Womans University, MFA in Sculpture, Seoul, South Korea
2004 Ewha Womans University, BA in Sculpture, Seoul, South Korea

SOLO EXHIBITIONS
2016 (un)Sealed Memories, Jam Factory, Oxford, U.K
2012 COMPOSITIONAL ○○○, Solo Exhibition, Topohaus Gallery, Seoul, Korea

GROUP EXHIBITIONS
2016 Alienation, 5th Base Gallery, London, UK
2016 Alienation, Ground Floor Gallery, NewYork, U.S
2016 Parallax Art Fair, Chelsea Town Hall, London, U.K
2016 Alienation, James Oliver Gallery, Philadelphia, U.S
2016 Static, Green Lens Studio, London, UK
2016 Beyond the image, Espacio Gallery, London, UK
2016 Perception of the figurative, 5th Base Gallery, London, UK
2016 Intergenic _ After&Seen Fifteen Project, Seenfifteengallery, London, UK
2016 Transitions, Menier Gallery, London, UK
2016 Es19782016, Leyoung Contemporary Art Museum, Kyungki-do, South Korea
2015 Graduate Art Prize 2015, Herbert Smith Freehills, London, UK
2015 The Deleted World, 5th Base Gallery, London, UK
2015 Goldsmiths MFA degree show, Goldsmiths College, London, UK
2015 Digit Disco: The body in the age of the digital, The Show Room gallery, London, UK
2014 Interim Show, Goldsmiths College, London, UK
2014 Symposium: A Banquet of Korean Contemporary Art, Oxo Tower Wharf, London, UK
2011 VO/D, Gallery Boda Contemporary, Seoul, South Korea
2010 Jangheung: JAM834, Jangheung Art Park, Kyungi-do, South Korea
2010 □+depth, Gallery La Mer, Seoul, South Korea
2008 Natural Relationship, Gallery Jinsun, Seoul, South Korea
2007 The Observers, Space Mueum, Seoul, South Korea
2006 The Selected Artists Exhibition for Korea Art review magazine, Danwon Museum, Kyungki-do, South Korea

COLLECTIONS
Constance Howard Gallery, Goldsmiths College, London, UK

YI, JI SUNG
B.F.A Sculpture, Media Art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M.F.A Sculp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Group Exhibition Ilhyun Museum, Gangwon-do 2013
Culture Station Seoul284, Seoul 2015
Solo Exhibition
Gallery Meme, Seoul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