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 벙 Dum-Bung

ARTIST
굴다리
(김나우,박해우,샬,이십이,황재현)
TITLE
덤 벙
dum-bung
DATE
2024.02.20(화)-03.01(금)
CREDIT
주최 및 주관 : 아트스페이스3
공모 기획 : 박주희 큐레이터, 문채원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기획 및 연출: 박해우, 이십이
제작: 굴다리
<덤벙-물결치는 것들> 영상: 김나우, 박해우
인터랙티브 미디어 구현: 샬, 황재현
<움직이는 것들>: 박해우, 이십이
-
연기: 오지후, 우화정
퍼포머: 이채은
멘토: 김현정 LG헬로비전 총괄디렉터
기술 자문: 고휘 , 록수, 도구공간
설치 : 권진용, 류창현, 민지훈
포스터 디자인 : 장윤아
사운드 : 이십이, 정의석
나와 타자의 만남과 관계 맺음으로 ‘나'는 타자에게 흘러 들어가 자리 잡는다. 그렇게 서로 가늠할 수 없는 영향을 주고받는다. 타자는 내 안을 향해, 나는 밖을 향해, 나와 타자의 만남은 그런 가상의 교환을 만들어낸다. 결정할 수 없고, 예측하거나 기대할 수 없고, 학습할 수 없으며, 언어와 개념에 기대어 어렴풋이 손에 잡을 수 있는 것. 이러한 실체 없는 교환은 나와 타자의 세계를 변화하게 하는 흔적을 남긴다. 관계 맺기는 몸의 안과 밖을 향하는 실체 없는 흔적의 교환이다. 우리와 우리의 흔적은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그 형태가 달라진 채 몸 바깥의 타자가 되어 살아간다.

나는 내 몸으로 존재하면서도 타자의 흔적이 되어 존재한다. 망각에 의해 내 안의 타자와 타자 안의 나는 편집되고, 우리는 동떨어진 조각인 것처럼 느껴진다. 우리는 관계를 맺으며 떨어져 있으면서도 이어져 있는 존재로, 나로 가득하면서도 안과 밖으로 흐르는 열린 자리로 존재하며 서로에게 예측할 수 없는 파동을 일으킨다.

이 작업은 나와 바깥의 타자가 관계를 맺는 순간 일어나는 흔적의 교환, 그 생동하는 파동이 뻗어가는 것을 표현한다. 무수한 흔적에 의해 변화하고 새 살이 돋는 관계의 모습을 담는다. 흔적은 서로의 존재를 공유하는 하나의 사건이자, 무수히 불어나고 전이될 존재의 가능성이다.


두 사람은 통화를 하고 있다. 각자의 소음이 수화기 너머로 흘러 들어온다. 하나는 타인에게 영향받지 않기 위한 계획을 말하고, 하나는 그 계획을 몸으로 실행한다. 하나는 가만히 서서 요동치는 많은 자신을 붙들고자 하지만, 결국 예측하지 못한 영향을 받아 움직인다.

전시 공간으로 들어서기 전, 계단 옆에 자리하는 <맺기>에서 관객은 앞으로 마주하게 될 이야기의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첫 공간 <움직이는 것들>에서 통화하는 두 인물의 모습과 그 내용은 영상과 각각의 사운드로 보여진다. 명확히 다른 움직임과 시야로, 두 인물은 같은 대화지만 다른 형태로 흘러 들어오는 서로의 영향을 마주한다.

두 번째 공간, 관객은 통화 이후 움직이기 시작한 인물의 상황에 돌입한다. <덤벙-물결치는 것들>에서 거리를 배회하는 인물이 마주하는 파동의 사건들을 목격한다. 전시의 끝에서는 <덤벙-연결되는 것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시 공간을 반영하는 흔적을 만나게 된다. 흔적의 파동이 전시장에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음을, 이 파동은 언제나 존재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글: 굴다리)
보통의 매듭으로 연결된 존재*
이지언 (독립 기획자)

1.
«덤벙»은 ‘굴다리'라는 팀의 첫 전시로 아트스페이스3에서 열린 미디어 전시다. 전시는 크게 세 개의 섹션으로 읽을 수 있다.

1) 프롤로그 : <맺기>라는 작업으로 전시장 입구에서 보이는 영상
2) 내러티브: <움직이는 것들-모두>, <움직이는 것들-파동> 전시장 내부를 크게 메우는 영상
3) 인터랙션: <덤벙-물결치는 것들>, <덤벙-연결되는 것들>, <윙-윙-윙> 모션 인식 기반의 실시간 인터랙티브 미디어

1) 프롤로그는 앞으로 전개될 내러티브의 표지 격으로 전반의 분위기를 드러낸다. 2) 내러티브에서는 세 캐릭터를 등장시키며 전시의 주된 주제인 ‘나-타인의 관계’로 돌입한다. 인물 〇와 ☐는 통화 중이다. 〇는 길을 걷고 있었고, ☐는 방 안에 있었다. 길을 걷는 중 특이한 걸음걸이의 △를 만나며 그의 걸음걸이를 체득하게 된다. 체득의 과정은 말투가 변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웠고, 의도가 없었으며 유래없이 갑작스러웠다. 〇는 이를 ‘재미'있다고 여겼다. △의 일부를 닮은 스스로가 새로웠다. ☐는 〇를 이해하지 못했다. ☐는 제3의 영향이 싫었다. 그만의 걸음걸이를 만들고 싶었다. 통화가 끝나고 ☐는 밖으로 향한다. 3) 인터랙션은 밖으로 나간 ☐이 걷는 거리의 풍경을 보여준다. 하나의 벽체를 기준으로 두 작업이 마주한다. 세수를 하듯 카메라에 얼굴을 인식하면 길을 걷는 듯한 거리뷰가 펼쳐진다. 거리뷰를 보는 이들은 벽체 너머로 실시간 카메라와 모션인식 기능을 통해 변하는 전시장의 풍경으로 이어지며 혼재된 공간으로 이동한다. 전시 내러티브의 핵심인 ‘나-타자의 관계’와 전시-관람객의 관계로 연동되며 새로운 해석을 도모한다.

2.
그들은 보통의 매듭으로 연결된 존재로서, 자신들에게 응답하는 자들을 “우리"라고 하는 예측 불가능한 종류kind로 한데 모으는, 의미-만들기의 형상들이기도 하다.
도나 해러웨이는 종과 종이 만날 때에서 위와 같이 썼다. 이 문장을 빌려 전시를 해석할 수 있겠다. «덤벙»은 ‘독특한 걸음걸이가 복수의 인물들의 응답을 이끌어냈다'는 대전제로 구성되었다. 해러웨이의 문장에서 응답하는 자들 즉, 〇와 ☐는 완벽히 일치하지 않으나 ‘종류kind’로 그룹핑 되어 매듭으로 연결된다. 작업에서 〇와 ☐, 그리고 △는 결국 어떠한 방향으로든 영향을 주고받는다. 여기서 ‘영향’은 ‘바꾸기'보다 넓은 의미를 가지며 ‘검색과 비웃음, 기억하기, 무시하기 등 비가시적인 형태를 포괄한다. 전제는 인물에게만 적용되지 않는다. ‘우리'라고 일컬어지는 무수한 종에게도 적용되며, 얽히고설켜 개별의 오리지날리티, 기원을 찾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도록 형성되었다.
인터랙션 작업 <덤벙-물결치는 것들>, <덤벙-연결되는 것들>을 건너며 작품 속의 배경과 전시장이 흐려지는 경험을 유도한다. 이는 브루노 라투르의 ANT(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세계를 떠올리게 한다. 경계를 무력화하는 작업은 위계를 없애는 작업과 통해 있다 . 물질적으로 존재하는 전시장과 스크린 너머로 보이는 ‘거리’라는 배경의 경계를 넘나든다. 이는 공간 사이의 위계를 무너뜨리며 세계관의 통합을 설정한다.
걸음걸이와 같은 ‘행위'에 집중해 보자. ‘행위’를 보기 위해서 ‘행위자'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존재하는 모든 생은 ‘행위자'이다. 브루노의 정신은 존재하는 행위자 간의 검열을 삭제하고 서로의 목소리를 균일하게 드러낸다는 점에서 전시와 닿아있다. 작품과 같이 영향을 미치는 사이는 ‘네트워크’로 볼 수 있다. 전시의 마지막 부분인 인터랙션에서는 결국 작품과 해당 섹션에 위치한 ‘행위자'를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일시적이고 잠재적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잠재적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낸다.

3.
첫 전시를 가진 팀 굴다리는 박해우, 이십이의 기획 및 연출로 진행되었다. 제작과 실현은 많은 이들의 참여로 함께 만들어졌다. 전시를 만든 형식 또한 영향과 관계 맺기로 읽을 수 있다. 연출이 제작에 미치는 영향과 제작이 작품에 미치는 관계는 전시의 본질이 된다.


*도나 해러웨이의 「종과 종이 만날때」 p.14에서 발췌했다.

Installation View